전자공학 학습
일반물리학1-온도, 열, 열역학 1법칙 본문
18장 온도, 열, 열역학 1 법칙
1. 온도
켈빈 척도
절대영도 : 더 이상 내릴 수 없는 온도. 0K
2. 열역학 0법칙
2-1. 열평형 : 서로 접촉하고 있는 두 물체의 모든 측정가능한 양들(부피 V, 온도 T, 압력 P)이 안정되고 변하지 않는 값을 되었을 때 이 두 물체는 열평형에 있다고 한다.
2-2. 열역학 2법칙 : 물체 A와 B가 다른 물체 T와 각각 열평형을 이룬다면 A와 B가 다른 물체 T와 각각 열평형을 이룬다면 A와 B도 열평형을 이룬다. -> 두 물체가 열평형을 이룬다. <-> 두 물체의 온도는 같다.
3. 온도의 측정
#물의 삼중점 : 물, 얼음, 수증기가 열평형상태로 공존하는 상태로 특정 온도와 특정 압력에서 유일해서 기준 잡기 좋다.
#온도의 표준고정점 \(T_3\) = 273.16K
#일정부피 기체온도계 : 일정 부피 일 때, 온도와 압력이 비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삼중점에서의 온도와 압력을 이용하여 비율을 통해 압력차를 구해 기체의 온도를 측정한다.
T =Cp \(T/p\) = \(T_{3}/p_{3}\)
*이 때 기체의 종류에 따라 결과가 약간씩 다르므로 기체의 양을 줄여가며 수렴값(이상기체온도)를 찾는다.
4. 섭씨온도와 화씨온도
1. 섭씨 온도 \(T_c\) 와 켈빈온도 \(T\) : $T_C=T-273.15$
2.화씨 온도($T_F$)와 섭씨 온도 : 화씨 = (9/5)* 섭씨 +32
섭씨와 켈빈은 한 눈금의 크기가 같지만(합차의 관계이다. )
화씨와 섭씨는 한 눈금의 크기가 다르다. 그러나 기 비율은 같다.
ex)
$\frac{T_C-0}{100-0}$ = \(\frac{T_F-32}{212-32}\) 온도의 비율이 같아야 한다. 나타내는 방식의 차이일뿐
5. 열팽창
5-1. 선팽창 : 길이 L인 막대
5-1-1. 선팽창 계수 α : $ΔL$ = $LαΔT$, α=$\frac{ΔL}{LΔT}$
$L'=L+ΔL$
$=L(1+αΔT)$
($L'$ : 나중 길이)
#선팽창 시에 팽창 길이는 "원래 길이"와 "비례상수"와 "온도변화량" 에 비례한다.
#모든 길이가 같은 비율(α)로 늘어난다.
5-2. 부피팽창 (고체) *액체와 기체는 뒤에 따로 식으로 정리함
β : $ΔV$ = $VβΔT$, β=$\frac{ΔV}{VΔT}$
$V'=V+ΔV$
$=V(1+βΔT)$
($V'$ : 나중 길이)
#(등방성) 고체의 경우 β=3α
*등방성 고체의 면적 팽창 $A=A_0[1+(2α)ΔT]$
6. 온도와 열
6-1. 열에너지 $Q$ : 원자나 분자의 제멋대로 운동과 관련된 에너지
*운동에너지로 생각하기에 입자가 너무 많고 불규칙적이라 열에너지 개념으로 본다.
6-2. 열은 계와 주위의 온도 차이에 따라 계와 주위 사이에 전달되는 에너지이다.
갖고 있는 에너지가 아닌 주고받는 전달되는 에너지이다.
*열에너지를 갖고 있다. - > 잘못된 표현-> 갖고 있는 에너지는 '내부 에너지'로서 후술한다.
6-3. 열의 단위 : cal , J
1 cal = 4.168 J , 1 Cal = 1 kcal +) 대문자-> kcal
6-4. 열과 일은 계의 고유한 성질(온도나 압력, 부피) 등 이 아니다.
열과 일은 계가 갖고 있는 에너지가 아니고 계와 주위 사이에 주고받는 에너지이다.
[열 : 분자운동]
[일 : 힘, 변위 ]
7. 고체와 액체의 열흡수
*단위조심
7-1. 열용량 (Heat Capacity) C : 1℃ 올리는데 필요한 열에너지. [J/K] or [cal/K]
$Q=CΔT$
질량에 비례 : C = cm
7-2. 비열 (Specific Heat) c : 단위질량당 열용량. [ J / (kg×K) ] or [ cal / (g×℃) ]
-> 1g 을 또는 1kg 을 1 ℃ 올리는데 필요한 열
$Q=cmΔT$
7-3. 몰비열 (Molar specific heat) : 몰당 열용량 또는 1몰을 1℃ 올리는데 필요한 열 [ J / mol * K ]
*물체의 비열은 열을 전달하는 조건에[P, V, T] 따라 달라진다. ex) 정압비열, 정적비열
고체나 액체의 비열은 정압비열로 본다.
7-4. 변환열(잠열) (Latent Heat) $L$ : 상변화에 필요한 단위질량당 열.-> 분자 간 연결구조 변화에 열이 쓰인다.
따라서 이 때의 ΔT는 0이다.
증발열 $L_V$, 융해열 $L_F$ [cal/g], [J/kg]
$Q = Lm$